|
이해인 수녀님의 책 속에 인용된 글이 있기에 한번 읽어야겠다 싶었는데 딸의 책꽂이에서 발견할 줄이야.
작년 겨울에 읽기 시작하여 올해까지 무려 2년간에 걸쳐 읽은 책
내가 알고 있던 헤세와는 사뭇 다른 정원을 가꾸며 스케치하고 수채화를 그리며 글을 쓰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.
그러나 결국은 언제나 영혼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 같은 느낌.
말간 꽃눈이 나를 응시한다.
꽃을 꺾으려다 나는,
늙은 나는, 그냥 두고
집으로 돌아간다.
- 처음 핀 꽃 중에 -
겉보기에는 저렇듯 둔감하고 저주스러울 만큼 건강한, 돈과 기계에 매달리는 인간이 바보처럼 행복에 젖어 한 세대 가량을 흘려 보내고 나면, 그 다음에 아마 그들은 의사나 선생, 예술가, 마술사들을 찾아가 많은 돈을 주고 자신들을 다시 아름다움의 비밀로, 영혼의 비밀로 이끌어달라고 요청하게 될 것이네.(1928년)
요한나 아텐호퍼에게
땅과 식물을 상대로 일하는 것은 명상과 마찬가지로 영혼을 자유롭게 놓아주고 쉬게 해주는 것입니다.
(1955년 가을)
"중요한 것이란 도대체 뭐지요?"
한스는 주저하듯이 물었다.
"소박함이란다."
노인을 짧고 확실하게 대답했다.
- '꿈의 집' 중에서 -'
'꿈의 집'에 나오는 아버지의 예술적 욕구를 채우기에 충분한 음악 바흐의 <악투스 트라기쿠스>와 모짜르트의 <아베 베룸 코름푸스>그리고 아들이 말한 케르비노의 아리아 <브와 셰 사페테>를 들어보아야겠다.
'책의 향기 > 느낌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샘터 4월 호에서 - 날마다 새 날, 달마다 새 달 (0) | 2011.03.26 |
---|---|
데일 카네기의 나의 멘토 링컨 (0) | 2011.03.10 |
친구가 되어 주실래요? (0) | 2011.02.25 |
박정희 할머니의 육아일기 (0) | 2011.02.23 |
마지막 인생수업 (0) | 2011.02.22 |